성서의 거울 앞에
-
2017/3/5 사순절 첫번째 주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3. 5. 14:05
2017/ 3/ 5 사순절 첫번째 주일 본문 - 마태복음 4:1 ~ 11 https://youtu.be/9HlBDlra-S0 = '클릭' 하시면 설교 영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'일상, 광야의 길' 1여러분에게 꼭 한번 가보고 싶으신 여행지가 있냐고 물으신다면 답할 만한 곳이 있으신가요 ?저는 언젠가 부터 꼭 한번 여행을 떠나보고 싶은 곳이 생겼습니다 물론 어려서부터 한번쯤은 가보고 싶다한 곳은 많았지만 진리를 담지하며 걷는 신앙의 길에 선 이후 꼭 한번 가보고 싶다고 남겨진 곳이 생겼습니다 스페인 북서쪽 도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로 향하는 약 800킬로미터의 순례길입니다산티아고는 예수의 12제자중 하나인 야고보를 칭하는 스페인식 이름이며, 순례길의 목적지는 야고보의 무덤이 있는 곳입니다 1987년 파올..
-
2017/02/26 주현후 마지막 주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2. 26. 13:12
2017 / 2/ 26 주현후 마지막 주 / 변화주일 본문 - 마태복음 17:1 ~ 9 https://youtu.be/8DRmoQjziZY = '클릭'하시면 설교영상을 나누실 수 있습니다 '십자가의 길 앞에 놓여있는 것' ▲ Raphael. Altarpiece: The Transfiguration. Rome. Vatican. Picture Gallery. (lower section painted by Giulio Romano after Raphael’s death). 라파엘의 제단화 : 그리스도의 변용. 로마, 바티칸, 미술관 (아래 부분 라파엘 사후 줄리오 로마노가 색칠) 1오늘은 교회력상 예수그리스도의 주현후 마지막 주일이며, 변화주일로 불리우는 주일입니다변화주일은 오늘 성서일과에 의해 주어진 본문 ..
-
2017/2/19 주현절 7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2. 19. 14:27
2017/ 2/ 19 주현절 7주 본문 - 고린도전서 3:10 ~ 23 https://youtu.be/cSAY8aBLtYY = '클릭'하시면 설교 영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'무엇을 세우고 계십니까 ?' 무엇을 기준 삼아 살고 계십니까 ? '나'입니까 ? '하나님' 입니까 ? 무엇이 주인되어 살고 있습니까 ? '나'입니까 ? '하나님'입니까 ? 내가 기준이 될때 우리의 눈은 타인을 향한 손가락질로 치켜세워지고, 하나님이 기준이 될 때 우리의 손은 무너진 내 자신을 향하게 됩니다 내가 기준이 될 때, 눈에 보이는 것만을 찾아 그곳에 매몰되어 버리는 신앙에 천착하게 됩니다 하나님이 기준이 될 때, 진정 생명이 살아나는 구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게 됩니다 내 자신의 기준, 내 자신의 가치관, 내 자신의 앎, 내..
-
2017/2/12 주현절 6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2. 12. 14:03
2017-02-12 주현절 6주 본문 - 신명기 30:15 ~ 20 https://youtu.be/z1ZfXbT5SIY = '클릭' 하시면 설교영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'복의 시작이 어디입니까 ?' 1하나님이 우리를 향해 가지고 계신 뜻은 무엇일까요 ? 다시 말해 우리가 어떻게 되기를 원하시고 계실까요 ? 하나님 백성 이스라엘, 그들은 노예로 고통 가운데 살던 희망없던 이들이었습니다 그 절망의 자리로부터 야웨 하나님의 손에 이끌려 자유를 찾아 떠난 길이 40년입니다 말이 구원이고 자유이지 내일을 장담할 수 없는 황량한 광야에서 방황한 걸음이 무려 40년입니다 내일 무엇을 먹을 수 있을지, 어디서 잠잘 곳은 있을지, 직장은 언제쯤 구할 수 있을지 모를 생활을 40년입니다 그런 이스라엘을 이끌던 모세의 40..
-
2017-02-05 주현절 5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2. 5. 15:14
2017/ 2/ 5/ 주현절 5주 동녘교회 가정주일 본문 - 마태복음 5:13 ~ 20 https://youtu.be/ZYlhU94f2NE = '클릭'하시면 설교영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'빛'과 '맛'을 회복한 교회 1 마태에 의하여 기록된 오늘 본문의 말씀은 그 유명한 산상수훈, ‘산위의 가르침’입니다 말씀하시는 분은 예수님이 분명하신데, 가르침이라고 하니 듣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누구일까요 ?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대상은 모두 세 그룹입니다 첫번째 그룹은 산위에 모여서 예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던 사람들입니다 그 다음 그룹은 마태가 기록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전해 들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사람들입니다 마지막 그룹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함께 나누고 있는 저와 여러분이라 하겠습니다 2 말하는 이는 동일..
-
2017/1/29 주현절 4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1. 29. 13:56
2017-1-29 주현절 4주 본문 - 미가 6:1 ~ 8 https://youtu.be/4NBf2fB97UE = '클릭'하시면 설교 영상을 나누실 수 있습니다 "하나님을 모르는 하나님 백성들" 1예상하지 못한 일이나, 어려운 일이 발생하게 될 때 사람들의 주된 반응은 무엇일까요 ? 아마도 당혹감일 것입니다 그리고 당혹감은 사람들로 하여금 두가지 반응을 야기시킵니다 첫번째 다 내 잘못이라고 자위하는 경우입니다 무언가 일이 틀어지거나, 잘 못되어지는 것처럼 보이면 내 잘 못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입니다두번째 현실에 대한 부정과 반발로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건강하던 사람이 갑작스럽게 찾아온 죽음앞에서 가장 먼저 드러내는 반응이 바로 ‘부정’입니다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내가 무엇을 잘 못했..
-
2017/ 1/ 22 주현절 세번째주일성서의 거울 앞에 2017. 1. 22. 18:05
2017- 1- 22 주현절 세번째 주일 본문 - 고린도전서 1:10 ~ 18 https://youtu.be/vhxDNvvu3Y8 - '클릭'하시면 설교영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"십자가의 도를 따르는 교회" 1그닥 유쾌하지도 생산적이지도 않고, 이것을 바라는 사람도 없지만 사람이 두 명 이상만 모일 수 있는 공동체라면 언제나 불쑥 생겨나고 마는 것이 있습니다어떤 공동체는 이것을 잘 해결하여서 더욱 견고해지는 경우도 있지만, 어떤 곳은 이것 때문에 끝내 상처를 주고 받다가 갈라지고 와해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? ‘분열’과 ‘분쟁’입니다 분쟁이란 선하지 못한 결과이기는 하지만, 사람이 있는 곳에는 분쟁은 언제나 함께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서로 다른 생각,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며 세상..